‘오마카세’는 셰프에게 요리를 전적으로 맡긴다는 뜻이에요.
인크로스의 펭귄사원 마인이가 떠먹여주는 마케팅 인사이트 오마카세 '마인(MA:IN)카세'!
맛있는 마케팅 한상, 마인이에게 맡기세요!
|
|
|
2025.08.04(월)
오늘의 마인카세: 마인뉴스 |
|
|
🐧셰프 소개
마케팅 전문 맡김차림, 마인카세에 어서오세요.
마케팅 전문가 김마인 셰프의 맛잘알 마케팅 인사이트, 오늘의 핫토픽을 기대해주세요! |
|
|
오늘 새벽 마인이가 직접 잡아온 마케팅 소식에 싱싱한 인사이트를 더했어요. |
|
|
#넷플릭스 #케이팝데몬헌더스 #상표권
넷플릭스 <케이팝 데몬 헌터스>, 상표권 출원
|
|
|
잘 나갈 때 노 젓는 중🚣, 넷플릭스 <케이팝 데몬 헌터스> 상표권 출원
넷플릭스가 인기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열풍에 힘입어 캐릭터 사업 확대에 나섰어요. 업계에 따르면 넷플릭스는 지난 7월 22일(현지시간), 미국 특허상표청에 <케이팝 데몬 헌터스> 관련 상표권을 단독 출원했어요. 상표 등록 세부 항목 분류를 보면 '가정용품 및 유리제품'과 코스프레 의상·운동복·수영복·액세서리 등이 포함된 '의류제품', '장난감 및 스포츠용품 제품' 등이 포괄돼 있어 다양한 종류의 캐릭터 상품이 발매될 것으로 보여요.
스핀오프 콘텐츠나 시즌2도 좋지만, 소비자 실생활에서 쓸 수 있는 제품으로 확장
전문가들은 넷플릭스의 이번 상표 출원이 단순 부가 상품 제작을 넘어, 디즈니식 IP 전략과 유사하다고 분석했어요. 특히 이번 출원이 추가적인 시리즈나 영화가 아닌 완구 제품에 초점을 맞췄다는 점에 주목하며, 넷플릭스가 소비자 제품 전반에 걸쳐 지식재산권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으로 보고 있어요. 이는 스크린 안에 머무르지 않고 브랜드를 실생활 전반으로 확장하려는 전략으로, 디즈니가 구축해온 IP 기반의 비즈니스 모델과 닮아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어요.
🐧김셰프의 한마디
앞으로 넷플릭스는 크리에이터 중심의 콘텐츠 개발뿐 아니라, 실사 영화나 뮤지컬 등 IP를 활용한 다양한 확장 전략을 이어갈 것으로 보여요. 특히 이번 상표 출원처럼 콘텐츠를 넘어 제품과 브랜드로 이어지는 사업 다각화는 넷플릭스의 새로운 성장 축이 되고 있어요. 이러한 전략이 꾸준히 이어진다면, 단순 스트리밍 기업을 넘어 글로벌 콘텐츠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다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돼요.
|
|
|
#구글 #AI요약 #언론사 #가디언
AI 요약, 언론사들에게 치명적 타격?
|
|
|
AI 요약 서비스, 다른 홈페이지의 링크 클릭률 떨어뜨려
최근 구글링 할 때, 상단에 뜨는 AI 요약 기능을 본 적 있으신가요? 이 구글의 ‘AI 요약’ 서비스가 다른 홈페이지의 링크 클릭률을 크게 떨어뜨린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어요. AI 요약은 검색 결과를 최상단에 한 블록의 텍스트로 요약해서 보여주는 기능으로, 콘텐츠를 일일이 클릭하지 않아도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게 해줘요. 미국 여론조사 기관인 퓨리서치센터가 22일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구글의 AI 요약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 중 8%만 다른 홈페이지의 링크를 클릭했다고 해요. 반면, AI 요약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사용자의 경우, 15%가 다른 홈페이지의 링크를 클릭했어요. 또, AI 요약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추가 검색을 중단하고 창을 닫을 확률이 더 높다는 결과도 있었어요. AI 요약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추가 검색을 하지 않고 중단한 비율이 26%였고, AI 요약을 이용하지 않는 사람들은 16% 정도가 첫 검색에서 멈췄다고 해요.
AI 요약에 의한 트래픽 감소, 언론사들에게 어떤 영향을 줄까?
사람들이 AI요약만 보고 다른 홈페이지의 링크를 클릭하지 않는 상황은 트래픽에서 수익을 얻는 언론사들에게 큰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어요. 영국 가디언 매체에서는 지난달 24일, ‘AI 요약 기능이 온라인 뉴스 매체의 이용자 수에 파괴적인 감소세를 초래한다’는 기사를 내며 AI 요약 아래로 밀린 웹사이트들은 트래픽이 무려 79%나 감소할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를 다뤘어요. 이에 대해 구글에서는 해당 기사에 대해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정확하지 않으며, 전체 웹 트래픽이 급감했다는 증거는 없다고 반박했어요.
🐧김셰프의 한마디 구글은 가디언이 발표한 내용에 반박했지만, 구글의 AI 요약 기능에서 주로 인용되는 사이트는 위키피디아(6%), 정부 웹사이트(6%), 그리고 ‘뉴스 웹사이트(5%)’기 때문에, 요약 내용만 보고도 충분한 정보를 얻게 된다면, 다른 웹 트래픽이 감소할 거라는 의견은 타당성이 있어 보여요. 구글의 AI 요약 기능은 사용자들에게 편리함을 주기도 하지만, 언론사에서 만든 콘텐츠를 자사 AI 도구 학습과 수익화에 이용한다고 볼 수도 있어요. 뉴스 발행사들은 이러한 흐름에서 구글과 타협점을 찾을 수 없다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재고해야 할 필요성이 있어 보여요.
|
|
|
원하는 분야만 쏙쏙 골라 드세요! 이미지와 제목을 누르면 기사로 이동해요. |
|
|
오늘의 코스 요리는 여기까지입니다. 손님-!
오늘 마인카세는 어떠셨나요? 더 맛깔나는 인사이트를 위해
손님들의 후기가 필요해요. 알려주세요!🐧 |
|
|
싱싱한 인사이트 맛집 마인카세! 나만 맛볼 수 없지.
지인들에게도 마인카세를 소개해주세요. 🐧✨ |
|
|
마인이 본캐 연구원1🐵: 정솔빈
연구원2🐰: 박예린
아기연구원🦉: 김현진 |
|
|
|
인크로스데이터랩 idl@incross.com 서울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1926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