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카세’는 셰프에게 요리를 전적으로 맡긴다는 뜻이에요.
인크로스의 펭귄사원 마인이가 떠먹여주는 마케팅 인사이트 오마카세 '마인(MA:IN)카세'!
맛있는 마케팅 한상, 마인이에게 맡기세요!
|
|
|
2025.08.18(월)
오늘의 마인카세: 마인뉴스 |
|
|
🐧셰프 소개
마케팅 전문 맡김차림, 마인카세에 어서오세요.
마케팅 전문가 김마인 셰프의 맛잘알 마케팅 인사이트, 오늘의 핫토픽을 기대해주세요! |
|
|
오늘 새벽 마인이가 직접 잡아온 마케팅 소식에 싱싱한 인사이트를 더했어요. |
|
|
#라인 #대만메신저 #현지화전략
라인, 대만서 MAU 2,200만 돌파…
국민 메신저로 안착 |
|
|
출시 초기엔 100만도 넘기 힘들었지만 지금은 대만 국민 앱
네이버가 만든 메신저 라인(LINE)이 대만에서 국민 메신저로 자리 잡았어요. 출시 초기에는 월간활성이용자수(MAU)가 100만 명이 채 안 될 만큼 첫 이용자를 확보하는 것부터 애를 먹었지만, 현재는 약 2,200만 명(인크로스데이터랩. data ai 데이터 기준, OS 합산)을 기록할 만큼 크게 성장했어요. 대만의 인구는 2024년 기준 약 2,341만 명으로, 국민 대다수가 이용하는 것을 알 수 있어요. 단순한 대화 수단을 넘어 결제, 송금, 각종 생활 서비스까지 확장되며 대만인의 일상 속 핵심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어요. 당시 대만 시장에 이미 자리 잡고 있던 왓츠앱은 유료 모델을 유지했는데, 이와 달리 라인이 무료 서비스를 내세운 점이 차별화의 출발점이 되면서 이용자 수가 급증했어요.
라인의 대만 시장 성장 비결🔥: 무료 서비스·스티커·현지 파트너십 등 현지 문화를 읽은 전략
라인이 대만에서 자리를 잡을 수 있었던 배경에는 몇 가지 전략적 선택이 있었어요. 첫째, 당시 유료 모델을 유지하던 왓츠앱과 달리 무료 서비스를 내세워 초기 진입 장벽을 낮췄다는 점이에요. 유저 입장에서는 일상에서 자주 쓰이는 앱을 유료로 사용해야 하면 부담스러울텐데, 라인은 이 점을 공략해 앱을 무료로 제공했어요. 둘째, 귀여운 캐릭터를 선호하는 대만인의 취향에 맞춰 라인프렌즈 스티커를 차별화 요소로 활용했어요. 작은 이모티콘 중심이던 시장에서 스티커는 풍부한 감정 표현을 가능하게 하며 이용자 충성도를 빠르게 끌어올렸어요. 셋째, 현지 1위 통신사 청화텔레콤과의 제휴를 통해 데이터 전송을 무료로 제공하면서 확산 속도를 높였어요. 청화텔레콤의 '라인 요금제'를 쓰게 되면, 문자 뿐 아니라 사진이나 동영상을 무료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제공했어요. 뿐만 아니라 대만인의 생활 문화까지 세심하게 반영했는데, 대표 사례가 타이베이의 오래된 도교 사당 하해성황묘예요. 이곳에서 사람들은 소원을 빈 뒤 기부하는 관행이 일상화되어 있는데, 라인은 이를 포착해 라인페이를 통한 기부를 가능하게 했어요. 전통적인 종교 시설에까지 자연스럽게 스며든 덕분에, 라인은 단순한 메신저를 넘어 생활 문화 전반에 자리 잡을 수 있었어요.
🐧김셰프의 한마디
라인의 대만 성공은 현지화를 얼마나 정교하게 실행하느냐에 따라 성패가 갈린다는 점을 잘 보여줘요. 대만에서는 무료 앱·스티커·현지 제휴·문화적 활용이라는 복합 전략으로 성공을 거뒀고, 이전에 일본에서는 재난 상황 속 ‘1대1 소통’이라는 문화적 니즈를 읽어내면서 성공을 이루기도 했어요. 특히 라인페이가 간편결제 1위 서비스로 성장한 것은 단순한 기능 경쟁을 넘어, 현지인의 생활 인프라로 자리 잡았다는 의미가 있어요. “현지화 없이는 세계화도 없다”는 말이 있듯이, 글로벌 진출을 목표로 한 플랫폼들은 현지 시장에 대한 리서치가 성공의 핵심이 될 것으로 보여요.
|
|
|
#숏폼 #컨슈머인사이트 #쇼츠 #릴스 #틱톡
숏폼, 1020 중심으로 이용률 급증
|
|
|
숏폼, 한 번 보면 기본 20분 넘게 봐요
1~3분 내외의 짧은 영상인 ‘숏폼’을 한 번 보기 시작하면 일반적으로 20분 넘게 시청한다는 조사가 나왔어요. 리서치 회사 컨슈머인사이트는 25년 상반기 이동통신 기획조사를 통해 휴대폰 사용자들이 영상을 얼마나, 어떻게 시청하는지에 대해 조사했어요. 그 결과, 하루 평균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으로 영상을 시청하는 시간은 97분이었고, 특히 1020은 1시간 이상 영상을 보는 비율이 74%, 3시간 이상 시청자도 28%에 달했어요. 영상 유형별 선호도는 롱폼(풀버전)이 59%, 숏폼이 49%으로 2위였지만 10대에서는 숏폼(62%)이 롱폼(47%)의 시청률을 10%p 이상의 차이로 크게 추월했어요. 숏폼 연속 시청 시간 또한 10대는 ‘1시간 이상’ 비율이 26%에 달했어요. 반면, 60대 이상은 ‘5분 미만’이 27%로 나타나는 등 연령이 낮을수록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어요.
숏폼 플랫폼은 역시 유튜브, 1030은 릴스도 많이 시청
숏폼 플랫폼은 1~3순위 기준 유튜브 쇼츠가 75%로 압도적 1위였어요. 그 뒤를 인스타그램 릴스(43%), 틱톡(20%), 네이버 클립(17%)이 이었으나, 인스타그램 릴스는 10대~30대에서 과반수의 이용률(71%~53%)을 보였어요. 10대에서는 틱톡 이용률(40%)이 평균의 2배 수준으로 유독 높았고, 쇼츠, 릴스, 틱톡 등 다양한 플랫폼을 고르게 활용하는 경향을 보였어요. 컨슈머인사이트는 10대가 다양한 플랫폼을 고르게 활용하는 것은 SNS 기반 자기표현 욕구가 강하기 때문이라고 해석했어요.
🐧김셰프의 한마디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숏폼 영상이 주력 콘텐츠가 되며, 앞으로도 숏폼 영상의 시청 시간이 더 늘어날 가능성이 커요. 또, 전체적으로는 유튜브 쇼츠의 이용률이 가장 높았지만, 젊은 세대는 인스타그램 릴스나 틱톡 등 다양한 플랫폼을 함께 활용하는 모습이 뚜렷했어요. 광고 플랫폼 전략과 콘텐츠 제작 측면에서는 세대별 선호도를 고려한 적절한 플랫폼 활용이 더욱 중요해질 것 같아요.
|
|
|
원하는 분야만 쏙쏙 골라 드세요! 이미지와 제목을 누르면 기사로 이동해요. |
|
|
오늘의 코스 요리는 여기까지입니다. 손님-!
오늘 마인카세는 어떠셨나요? 더 맛깔나는 인사이트를 위해
손님들의 후기가 필요해요. 알려주세요!🐧 |
|
|
싱싱한 인사이트 맛집 마인카세! 나만 맛볼 수 없지.
지인들에게도 마인카세를 소개해주세요. 🐧✨ |
|
|
마인이 본캐 연구원1🐵: 정솔빈
연구원2🐰: 박예린
아기연구원🦉: 김현진 |
|
|
|
인크로스데이터랩 idl@incross.com 서울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1926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