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카세’는 셰프에게 요리를 전적으로 맡긴다는 뜻이에요.
인크로스의 펭귄사원 마인이가 떠먹여주는 마케팅 인사이트 오마카세 '마인(MA:IN)카세'!
맛있는 마케팅 한상, 마인이에게 맡기세요!
|
|
|
2025.04.07(월)
오늘의 마인카세: 마인뉴스 |
|
|
🐧셰프 소개
마케팅 전문 맡김차림, 마인카세에 어서오세요.
마케팅 전문가 김마인 셰프의 맛잘알 마케팅 인사이트, 오늘의 핫토픽을 기대해주세요! |
|
|
오늘 새벽 마인이가 직접 잡아온 마케팅 소식에 싱싱한 인사이트를 더했어요. |
|
|
#애플 #트럼프 #관세 #틱톡
애플,
틱톡 노린 ‘트럼프 관세’ 직격탄 |
|
|
아이폰, ‘트럼프 관세’ 가격에 반영 시 336만 원?
트럼프 대통령이 9일부터 중국에 대해 추가 34% 상호관세를 부과하며, 총 54%의 관세가 적용될 예정이라고 발표했어요. 그런데 이는 중국에서 생산되는 모든 품목에 부과되기 때문에, 아이폰의 약 90%가 중국에서 생산되는 애플이 오히려 직격탄을 맞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어요. 애플 입장에서는 급증한 관세 부담을 추가 비용으로 떠안을지, 소비자에게 전가할지 선택해야 해요. 로이터는 애플이 '관세 폭탄' 부담을 소비자에게 전가할 경우, 아이폰 가격이 30~40% 인상될 수 있다는 전망을 제시하기도 했어요. 이는 현재 1,599달러(약 230만 원)에 판매되고 있는 아이폰16 프로 맥스(1TB)가 2,300달러(약 336만 원)로 상승하는 수치예요.
대중 상호관세 목적 중 하나는 ‘틱톡’
미국 대표 기업인 애플이 타격을 입음에도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밀어붙이는 이유 중 하나로는 '틱톡'도 연관되어 있어요.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의 미국 사업 부문을 미국인 투자자들에게 매각하는 대가로 중국의 수입품 관세를 인하해줄 수 있다고 밝히며, 틱톡 사업권 매각에 힘을 쏟고 있어요.
현재는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를 발표하자 중국 정부 역시 미국산 수입품에 34%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보복 조치에 나섰고, 틱톡 모기업 바이트댄스 측은 미·중 간 관세 협상이 열릴 때까지 협상을 중단하겠다고 통보한 상황이에요. 협상 결렬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 금지법’ 시행을 75일간 추가 유예하겠다고 밝혔으며, 틱톡의 미국 사업의 미래 역시 또다시 불투명해진 상황이에요.
🐧김셰프의 한 마디
애플뿐만 아니라 미국 시장을 겨냥하는 수많은 회사가 ‘관세 폭탄‘로 인해 진퇴양난에 처했어요. 예시로, 일본의 게임 회사 닌텐도는 불안정한 관세 상황으로 인해 신규 기종 닌텐도 스위치2의 미국 내 사전 예약을 연기하기도 했어요. 상호관세로 인해 미국 내 소비자가격 상승은 물론 이에 따른 소비경기 둔화까지 예상되지만, 관세 전쟁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여요.
|
|
|
넷플릭스, 폭싹 속았수다로 OTT 1위⋯
2위 경쟁도 치열
|
|
|
넷플릭스의 독주, 폭싹 속았수다로 월간활성이용자수 1,400만 명 돌파
넷플릭스가 오리지널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의 인기를 업고 약 2년 만에 월간활성이용자수(MAU) 1,400만 명을 돌파했어요. 넷플릭스가 MAU 1,400만 명을 넘긴 건 '더 글로리'가 높은 인기를 끌었던 지난 2023년 이후 처음이에요. ‘폭싹 속았수다’는 국내뿐만 아니라 브라질, 콜롬비아, 베트남, 터키 등 42개 국에서도 인기 순위 TOP10에 오르며 타국에서도 인기를 끌고 있어요. 넷플릭스 관계자는 드라마 내용이 한 세대에만 국한되는 콘텐츠가 아닌, 젊은 세대부터 중장년층까지 즐길 수 있는 패밀리 콘텐츠로써 큰 사랑을 받았다고 분석했어요. 가족에 대한 사랑이라는 보편적인 정서로 타국에서도 이해하고 즐길 수 있는 지점이 다양한 국가에서 인기 순위 내에 진입한 요인으로 보고 있어요.
스포츠 중계로 2위 자리 탈환을 위한 경쟁을 벌이는 쿠팡플레이 vs 티빙
넷플릭스의 독주에 이어 2위를 차지하기 위한 쿠팡플레이와 티빙의 경쟁이 치열해요. 지난달 MAU 2위는 쿠팡플레이(748만 1,759명), 3위는 티빙(705만 4,768명)이 차지했어요. 지난달은 쿠팡플레이가 앞섰지만, 올해 1월에는 티빙이 733만 6,146명, 쿠팡이 685만 3,457명으로 티빙의 MAU가 앞서며 순위 경쟁에서 엎치락뒤치락하는 모습이에요. 이러한 경쟁에서 각 서비스는 차별화를 위해 스포츠 중계에 방점을 둔 전략을 구상했어요. 쿠팡플레이는 프리미어리그(PL) 독점 중계권을 확보했고, 경기 중계 외에도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다각화하는 협력을 이어간다고 해요. 티빙은 한국프로야구(KBO) 독점 중계를 했는데, KBO개막전이 열린 지난달 순방문자수(UV)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6%, 총 시청 시간은 130% 증가했어요. 이뿐만 아니라 쿠팡플레이는 HBO, HBO 맥스와의 제휴로 ‘왕자의 게임’, ‘섹스 앤 더 시티’, ‘체르노빌’ 등 다양한 콘텐츠를 확보해 더욱 경쟁력을 갖췄어요.
🐧김셰프의 한 마디
|
|
|
챗GPT, 지브리풍 이미지 생성 열풍⋯
‘엔터테인먼트’ 요소에 소비자 열광
|
|
|
지브리 스타일로 챗GPT MAU 역대 최대 달성
오픈 AI가 지난 달 GPT-4o 기반 이미지 생성 기술 공개 이후,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로 변환하는 유행으로 인해 신규 가입자 및 이용 시간 수치가 역대 최대를 기록했어요. 모바일 인덱스에 따르면, 올해 3월 챗GPT의 MAU는 509만 명으로 전월 대비 31.6% 증가했어요. 이는 전년 동기와 비교했을 때 478.3% 오른 수치이며 국내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로는 최대치라고 해요. 오픈AI에 따르면, 이 기능 출시 직후 일주일간 1억 3,000만 명의 이용자가 7억 개 이미지를 생성했다고 해요. 유료 구독자 수는 약 450만 명 증가했고, 전체 가입자 수는 5억 명을 넘어서는 등 전 세계적으로 인기라고 해요.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 생성 열풍, AI에 엔터테인먼트 요소 더해져 파급력 확보
오픈AI 창립자 샘 올트먼은 지난 10년간 의료 혁신이나 난제 해결을 위해 AI를 개발해왔을 때 사람들의 반응은 무관심했는데, 이번 ‘지브리 스타일’이 큰 호응을 일으키는 것이 놀랍다고 했어요. 카카오의 전 대표이사였던 남궁훈 아이즈엔터에인먼트 대표도 “정보형 AI보다 엔터테인먼트형 AI가 소비자들에게 더 가까운 곳에 있으며 비용을 지불하고자 하는 수준의 B2C적 요구를 충족시켜준다"고 언급했어요.
🐧김셰프의 한 마디
한편 이러한 AI 이미지 생성의 폭발적 인기에, 저작권 문제와 사진의 초상권 문제 등도 불거지고 있어요. 화풍에 대한 저작권은 없지만 저작권자의 허락 없이 학습 행위를 했다면 저작권 침해 소지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에요. 사진 초상권 관련해서도 이미지 변환을 위해 입력한 사진들이 AI 학습에 사용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문제가 될 수 있어요. AI의 엔터테인먼트적 요소로 인해 대중에 더욱 빠르게 확산되며 생기는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할 필요가 있어 보여요.
|
|
|
원하는 분야만 쏙쏙 골라 드세요! 이미지와 제목을 누르면 기사로 이동해요. |
|
|
오늘의 코스 요리는 여기까지입니다. 손님-!
오늘 마인카세는 어떠셨나요? 더 맛깔나는 인사이트를 위해
손님들의 후기가 필요해요. 알려주세요!🐧 |
|
|
싱싱한 인사이트 맛집 마인카세! 나만 맛볼 수 없지.
지인들에게도 마인카세를 소개해주세요. 🐧✨ |
|
|
마인이 본캐 연구원1🦁: 정솔빈
연구원2🐰: 박예린
트렌드헌터🔫: 김현진 |
|
|
|
인크로스데이터랩 ad_news@incross.com 서울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1926
|
|
|
|
|